2025년 6월 7일, 울산 시민들은 평소와 다른 아침을 맞이했습니다. 시내버스의 80% 이상이 운행을 멈춘 것입니다. 한국노총 산하 울산버스노동조합이 임금 인상과 근로 조건 개선을 요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한 데 따른 여파입니다. 이는 단순한 교통 불편을 넘어 시민들의 일상 전체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왜 파업이 발생했는가?노조 측은 물가 상승과 노동 강도에 비해 현행 임금 수준이 지나치게 낮다고 주장합니다. 또한 배차 간격 확대, 장시간 노동, 휴게시간 부족 등 구조적인 문제를 지적하며, 근로 여건 개선이 없다면 지속 가능한 버스 운행은 어렵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반면 울산시와 버스회사 측은 재정 부담과 정부 보조금 한계 등을 이유로 노조의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양측의 입장 차이..